3.0 An Informal Introduction to Python

*이 글은 pythonorg.com 의 Ducumentation을 기반으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3.0 An Informal Introduction to Python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3.1 파이썬을 계산기로 사용하는 법

____3.1.1. Numbers : 숫자형 데이터 타입
____3.1.2. Strings : 문자형 데이터 타입
____3.1.3. Lists : 목록형 데이터 타입

3.2 프로그래밍을 향한 첫 발걸음



아래의 예제에서, input(입력된 값)과 output(출력된 값)은 프롬프트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구분됩니다. 프롬프트란 >>>...입니다. 예제를 따라할 때는 언제나 프롬프트 뒤에 내용을 입력해야 합니다. 프롬프트로 시작하지 않은 내용은 인터프리터에서 내어놓은 출력값(output)입니다. 예제와 같이 ...프롬프트가 줄 위에 혼자 존재할 때는 우리가 그 줄을 비워야 한다는 뜻입니다. 여러 줄로 작성된 명령을 끝낼 때 종종 사용됩니다.

이 글에 포함된 수많은 예제들에는 주석이 달려있습니다. 심지어 대화형 프롬프트에 입력된 것들에까지 말입니다. 파이썬에서 주석은 #(해시)로 시작합니다. 주석의 끝은 따로 표시하지 않고, 그 줄이 끝나면 주석처리 역시 자동으로 끝납니다. 주석은 줄의 가장 앞이나 코드의 뒤쪽 빈 자리 등 어디에나 입력할 수 있지만, 문자열 안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자열 안에 사용된 #은 주석이 아니라 그저 문자일 뿐입니다. 주석은 코드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처리되지 않습니다. 예제에 포함된 주석은 따라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첫번째 주석 : 이런식으로 주석을 사용합니다. 
spam = 1  # 두번째 주석 : 코드 뒤쪽의 빈 공간에 주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세번째 주석 : 이렇게 어디든지 말입니다.
text = "# 하지만 이 녀석은 문자열(string)을 나타내는 따옴표 사이에 있으니 주석이 아니라 문자입니다!"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