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put and Output

    7.2 Reading and Writing Files

    7.2.1. Methods of File Objects

    7.2.2. Saving structured data with json


7.2. Reading and Writing Files

7.2 파일 읽기 / 쓰기

open()은 파일을 불러옵니다. 일반적으로 filename과 mode를 인자로 사용합니다. ```open(filename, mode) (예시)

>>> f = open('workfile', 'w')

첫번째 인수(filename)는 파일의 이름을 스트링으로 표기합니다. 두번째 인수 역시 스트링입니다. 몇 가지 문자로 파일을 사용할 방식에 대해 표기합니다. 파일을 '읽기'만 할 때는 'r' 을 사용합니다. '쓰기'만 할 때는 'w'를 사용합니다. (만약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한다면, 덮어씌워집니다.) 'a'는 파일에 내용을 추가합니다. 어떤 형식의 데이터이든 자동으로 파일의 끝에 추가됩니다. 'r+'는 읽고 쓰기를 동시에 합니다. 두번째로 주어지는 mode인수는 선택사항입니다. mode에 대해 따로 입력하지 않으면 읽기모드 'r'이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보통 파일은 텍스트 모드로 열립니다. 이것은 우리가 스트링을 파일에서 읽거나 파일에 쓸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 스트링은 특정 방식으로 인코딩 되어야 하구요. 만약 인코딩이 특정한 방식이 아니라면, 기본값은 플랫폼의 방식을 따라가게 됩니다. (open()에 관한 docs를 참고하세요.) 'b'를 mode인수에 추가하면 파일이 binary 모드로 열립니다. 이 경우 데이터를 byte 양식으로 읽고 쓰게 됩니다. 이 모드는 텍스트가 아닌 모든 파일에 사용됩니다.

텍스트 모드일 경우, 기본적으로 기존 파일의 형식에서 각각의 줄 끄트머리에 \n을 붙여 읽어옵니다. 텍스트 모드에서 무언가를 입력할 때, 역시 줄 끄트머리에 \n을 붙여 저장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진행됩니다. 텍스트 파일에는 괜찮지만 binary 데이터 방식의 파일 (JPEG or EXE)에는 문제가 생기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